필자는  이클립스 및 JDK 설치는 생략 후 톰켓 설치부터 글을 남겨보도록 할려고 합니다.


우선 톰켓(http://tomcat.apache.org/) 사이트를 방문해서 톰켓 다운로드 받는곳을 갑니다.


사이트 옆 메뉴를 보게 되면 원하는 톰켓버전을 다운로드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톰켓 6 버전과 64bit 버전을 설치 하겠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톰켓을 압축을 해제하여 C:\tomcat\tomcat-6.0.53 폴더로 소스를 이동해 놓았습니다.


이젠 이클립스를 실행시켜봅시다.


필자의 이클립스 버전은 Neon.2 Release (4.6.2) 입니다. 참고해주시면 될듯하네요. 




이클립스에서 톰켓 설정




1. 상단 메뉴의 Window > Preferences 클릭.

2. 팝업 화면 중에 Server > Runtime Environments 를 클릭.


3. Add 버튼을 클릭해서 원하는 톰켓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


4.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 입력란의 Browse 버튼을 클릭하여 톰켓폴더의 경로까지 선택.


5. 원하는 JDK를 선택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


완료! 


- 디렉토리만 찾아서 퍼미션을 775로 변경

find . -type d -exec chmod 775 {} \;

- 파일만 찾아서 퍼미션을 모두 644로 변경

find . -type f -exec chmod 664 {} \;


기본적으로 git을 설치 해야 한다. 

나는 원격저장소로 카페24 리눅스 가상서버를 사용을 할려고 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LAPM( 리눅스 + 아파치 + PHP + MySql)을 설치 환경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간단하게 Yum으로 git을 설치 하였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yum install git 

부가적으로 설치 되어야 할 부분도 같이 설치를 해준다.


그럼 본격적으로 git 저장소를 만들자.


우선 리눅스 접속 사용자별로 각 Git 저장소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를 만들어보자.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adduser [사용자ID] 

passwd [사용자ID]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지정해주면 기본적으로 /home 폴더에 사용자 아이디와 동일한 폴더가 생성되었을 것이다. 

chmod -R 711 ./폴더명

위의 명령어로 폴더의 권한을 변경해준다.  그후 폴더 안으로 이동합니다.

git이 설치가 잘되었는지 git을 간단하게 명령어 입력하면 도움말이 나올것이다.

git --bare init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많은 파일들이 생성되었을 것이며, 해당 저장소가 만들어진 것이다.

해당 저장소를 사용할려면 해당 서버에서 바로 명령어를 할 수있겠지만 git에대한 예의가 아닌듯하다. 


그래서 window환경인 내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sourceTree]라는 프로그램으로 원격지에 있는 서버를 접속해보자. 


원격지 주소에 사용자ID@000.000.000.000:/home/풀더명 이렇게 적어주고 로컬 저장소만 선택하면 완료! 그후 패스워드는 상위에서 설정해놓은 것을 입력하면 된다. 


차후 캡쳐를 통해 더욱 설명을 붙이겠습니다. 급조라서..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 

'설치 가이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vc 설치 및 Java 데몬 샘플 구동 및 중지  (0) 2018.09.17
nginx 설치 - Centos7  (0) 2018.09.13
SVN 사용시 clean up 에러  (0) 2018.09.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