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패키지 관리시스템 저장소 추가

vi /etc/yum.repos.d/nginx.repo

2. 아래 내용을 입력 후 wq 저장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

gpgcheck=0

enabled=1

3. yum update를 하여 최신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4. yum -y install nginx 명령어로 설치 실행

5. systemctl start nginx 실행 명령어

6. systemctl enable nginx 리눅스 재부팅시에 시작 프로그램 등록.

7. 설정 파일 위치 : /etc/nginx/nginx.conf



오늘의 메뉴는 홍대 입구역 근처에 있는 쌀국수에요~ 

맛은 어느 쌀국수집이랑 비교해도 괜찮은 가성비의 쌀국수다. 

베트남분 두분이 직원인거 같다. 매번 두분이 직원으로 있지만 사람은 변경된거 같다. 

여기는 모든게 셀프다. 주문도 자판기 계산으로 선 주문을 한다.

계산기에 번호랑 영수증이 나와 기달리면 번호가 띠링~ 하면 쟁반에 쌀국수 한개나 덜렁 있다. 양파는 더 달라고 말하면 어렵게 알아듣는 베트남 직원이 덜어준다. 

내가 먹은건 고기쌀국수다. 그래도 가격은 4900원이다. 다른 비싼곳 가면 8천원이 넘는게 쌀국수다.

가성비도 양도 많이 줘서 쌀국수가 땅기면 여기로 온다. 점심 이야기를 쓰면서 처음으로 추천이란 말은 쓴다. 추천!! 


밑에 이미지는 교과서 처럼 보는 Java 책에서 많이 다루는 이미지 입니다. 

아주 간단 명료하게만 정리 해놓은 과정입니다. 

요새 많이 사용되는 메이븐(Maven) 처리 과정 포함하여 설명을 다루고자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1번 과정에선 컴파일이 이루어지면서 자바 소스(Java Source)파일들을 즉, 프로젝트 하위 (/src/main/java) 파일들을 컴파일(Compile)하여 이클립스를 사용한다면,

workspace의 \.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 위치에 프로젝트별로 컴파일 소스를 우선 떨구게 될겁니다. 

그러나 이전에 하는 일이 있죠. 우리가 사용 되고 있는 메이븐(Maven)의 소스들과 설정파일들을 우선 처리하여 파일들을 이동 시켜 놓습니다.

그래서 이전 게시물에 올렸던 메이븐(Maven) pom.xml에서 분기를 처리하여 globals 프로퍼티 파일을 사용 할수 있는 겁니다.


이 내용은 교육 기관이나 이런 곳에선 제가 공부 하다가 딴짓을 했거나 해서 못들었거나? 아니면 그떄는 이해를 못했지만 요새 설명을 귀에 쏙쏙 잘 들어 오게 해주셔서 다시 적습니다.


이렇게 1번의 과정이 끝이 납니다. 이후 2번 과정은 간단합니다. 리소스(Resource) 파일을 가져오고 webapp에 있는 내용들을 가져와서 인터프린터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출력을 해줍니다.



+ Recent posts